SOLID 설계 원칙이란 다음을 뜻한다. 단일 책임 원칙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) 개방-폐쇄 원칙(Open-Closed Principle) 리스코프 치환 원칙(Liskov Substitution Principle)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(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) 의존 역전…
지난번에 이 글을 쓰고 사흘 만에 패널을 질렀다. NV140QUM-N51 패널이다. 그런데도 후속 포스팅이 이렇게 늦어진 건 코로나19로 인한 항공편 감소로 배송이 한 달이나 걸렸기 때문이다.…
자바에서 일급 객체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. 변수에 담을 수 있어야 한다. 인자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. 리턴값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. 자바의…
요즘 코로나 때문에 매일매일 재난 문자가 울린다. 그런데 내용은 마스크 구입 정보, 확진자 동선 같은 급하지 않은 ‘정보’에 가까운데도, 항상 위급한 상황인 양 우렁차게 울려대는…
불변성이란 객체가 사용되는 도중 어떤 상황에서도 인스턴스 변수의 값이 변하지 않음을 뜻한다. setter를 뚫어 놓는다면 당연히 그 객체는 불변하지 않다. getter 역시도 컬렉션을 제공할 경우…
자바의 HashMap은 기존의 HashTable 대신에 사용되는 Map을 구현한 자료형이다. 즉 Key와 Value를 가지며 거기에 추가로 고유한 특성으로 ‘해시’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 속에서 더 빨리…
자바에서 상속은 개념적으로는 부모 클래스의 멤버 변수와 메소드를 가져다 사용할 수 있는 자식 클래스를 생성하는 것이며, 구조적으로는 비슷한 클래스들의 공통되는 부분을 합쳐서 중복되는 코드를 줄일…
자바 콘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결과값을 화면에 표시하려면 변수와 문자열 리터럴을 조합하여야 한다. 이렇게 조합하거나, 혹은 C에서 했던 것처럼 이렇게 가능할 것이다. 하지만 이러한 코드는…
java 7에서 추가된 Objects 클래스의 유틸리티 메소드를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. 객체를 생성할 때 null이 들어오는것을 걸러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짜는 경우가 많은데…
Effective Java 3/E 중 –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. 의존성 주입이란, 간단하게 말해서 어떤 자원에 대한 작업을 정적 유틸리티 클래스나 싱글톤…